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42

시정잡배 뜻 : 펀둥펀둥 놀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며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점잖지 못한 무리 시정잡배의 의미와 정의시정잡배는 한자로 市井雜輩라고 쓰며, 펀둥펀둥 놀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며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점잖지 못한 무리를 의미합니다. 현대에는 빈둥빈둥 놀고 방탕한 생활을 하며 저잣거리에 떠돌아다니는 천박스러운 무리를 지칭하는 말로, 쉽게 말하자면 길거리의 양아치나 건달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품행이 좋지 않거나 교양이 없고 품격이 낮은 사람들을 낮춰 부를 때 사용되는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한자 풀이와 어원시정잡배를 구성하는 한자는 市(저자 시), 井(우물 정), 雜(섞일 잡), 輩(무리 배)입니다. 각 한자의 의미를 살펴보면, 市는 시장을 뜻하고, 井은 우물을 의미하며, 雜은 잡다하게 섞인 것을, 輩는 무리를 나타냅니다.직역하자면 '시내 우물가의 잡놈들' 정도가 되는데, 이는.. 2025. 10. 31.
피접이 상골하다 : "피골이 상접하다"가 바른 표현, 살가죽과 뼈가 서로 맞닿을 정도로 몹시 말랐다는 뜻의 한자성어 피골이 상접하다는 표현은 몸이 극도로 여위어 살가죽과 뼈가 서로 맞닿을 만큼 마른 상태를 묘사하는 한자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단지 외형적 묘사에 그치지 않고, 고난·고생·헌신을 비유적으로 드러내는 뉘앙스를 지니기도 합니다.정의피골이 상접(皮骨相接)하다는 말은 문자 그대로 “살가죽(皮)과 뼈(骨)가 서로 맞닿을(相接) 정도로 몹시 마르다”라는 뜻입니다. 과도한 다이어트나 병환, 기근 등으로 인해 생체 에너지원이 고갈되어 육체가 쇠약해진 상태를 가리킵니다.구성 한자 풀이皮(피): 가죽, 살가죽骨(골): 뼈, 뼈대相(상): 서로接(접): 맞닿다, 이르다이를 직역하면 “가죽과 뼈가 서로 맞닿아 있다”가 되며, 비유적으로 “피골상접”이라는 사자성어로도 줄여 사용합니다.어원과 유래피골이 상접하다는 표현의 정확한 기.. 2025. 10. 15.
효시 뜻 : 嚆矢, 어떤 일이나 현상의 맨 처음 현대 한국어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효시'라는 단어는 "어떤 일이나 현상의 맨 처음"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이 단어의 본래 뜻과 유래를 살펴보면, 흥미롭고도 깊이 있는 역사적 배경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효시의 본래 뜻: 우는 화살효시(嚆矢)는 한자 그대로 '울릴 효(嚆)'와 '화살 시(矢)'가 결합된 말로, '우는 화살'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예전 전쟁에서 사용되던 특별한 화살의 한 종류를 가리킵니다. 효시는 화살 끝에 속이 빈 깍지를 달아 붙인 것으로, 쏘게 되면 공기에 부딪혀 우는 것과 같은 소리를 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우는 화살' 또는 '명적(鳴鏑)'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일반 촉 뒤에 둥근 피리를 다는 등 여러 변형형이 있었지만, 공통적인 특징은 소리가 나는 구멍이 있다는 점이었.. 2025. 9. 26.
티끌 모아 태산 뜻, 비슷한 속담, 영어로, 반대 표현 "티끌 모아 태산"은 아주 작은 것도 계속 쌓이면 결국 큰 것이 된다는 의미를 가진 속담입니다. 이는 단순히 양적인 증가만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인내를 통해 결국 큰 성과나 결실을 얻을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이 속담은 절약, 인내, 끈기, 장기적인 안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속담의 의미와 핵심작은 것이라도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처음에는 하찮게 보일 수 있는 작은 노력이나 행동도 시간이 지나면 큰 의미를 갖게 됩니다.사소한 절약, 작은 실천, 짧은 시간의 공부 등이 모여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당장은 눈에 띄지 않더라도, 꾸준히 이어지는 습관은 결과를 바꿉니다.꾸준함이 결국 큰 차이를 만듭니다하루하루의 작은 행동이 모여 미래를 만듭니다.일회성 행동보다 꾸준한 실천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집니다.반복적인 습.. 2025. 5. 4.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 뜻 : 진심 어린 말 한마디가 때로는 큰 도움이나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진심 어린 말 한마디가 때로는 큰 도움이나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속담입니다. 이는 언어의 힘과 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람 사이의 갈등이나 오해를 풀고 신뢰를 쌓는 데 말이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줍니다.속담의 의미와 핵심말의 힘은 행동 못지않게 큽니다사람의 말은 때로는 물리적인 행동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적절한 타이밍에 건넨 진심 어린 말 한마디가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이고,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단순한 말이라도 진심과 배려가 담긴 표현은 돈으로도 살 수 없는 가치를 지닙니다.말은 신뢰와 관계를 형성하는 매개체입니다사소한 말 한마디에도 사람들은 마음의 문을 열거나 닫습니다.공감과 위로, 인정의 말은 상대방의 자존감을 높이고.. 2025. 5. 3.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말조심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아무리 은밀하게 말한 이야기라도 누군가 듣고 있을 수 있으니 항상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속담입니다. 특히 남을 험담하거나 비밀을 이야기할 때, 그 내용이 결국 퍼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워 줍니다.속담의 의미와 핵심말은 반드시 새어나가기 마련입니다아무리 조용한 장소나 믿는 사람 앞에서 한 말이라도 누군가 듣고 있을 수 있습니다.말은 한 번 내뱉으면 되돌릴 수 없으며,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특히 비밀이나 험담은 입에서 나오는 순간부터 소문이 되어 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세상에 비밀은 없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말은 입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더 이상 비밀이 아닙니다.오늘 이야기한 것이 내일은 전혀 예상치 못한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 202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