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향소폐지1 이시애의 난 : 1467년 세조 중앙집권 정책에 저항하여 함길도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란 사건 조선 세조 13년(1467) 5월, 함경도 길주를 중심으로 발생한 이시애의 난은 중앙집권 강화라는 국가 정책에 저항한 북방 지역 호족과 농민이 대거 결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봉기로, 조선 초기 농민 봉기 가운데 규모와 영향 면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건이다. 이 난은 단순한 지역 반란에 그치지 않고, 세조가 추진하던 유향소 폐지와 토호 세력 억제 정책이 얼마나 강력한 충돌을 낳았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배경과 발단세조는 즉위 직후부터 국가 재정 확충과 왕권 강화를 위해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확립에 집중했다. 특히 함길도는 고려 말부터 북방 방어와 교통 요충지로서 지역 호족들의 세력이 전통적으로 강했던 곳이다. 함길도 유향소(儒鄕所)는 지방 관찰사와 절도사 등 중앙 관리와 별도로 지역 사족(士族)들이 행정·사법·.. 2025.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