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용구4

Don’t Beat Around the Bush 뜻 : 돌려 말하지 말고 요점을 말하라 "Don't beat around the bush"는 핵심을 피하거나 말주변을 돌리는 사람에게 요점을 말하라고 촉구하는 표현입니다. 직역하면 "덤불 주변을 두드리지 말라"는 말이지만, 핵심을 피해 애둘러 말하지 말고 직설적으로 이야기하라는 의미의 영어 관용구입니다.의미와 어원어원적 배경중세 유럽의 사냥 문화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사냥꾼이 직접 덤불 속 동물을 잡기보다는, 주변을 돌아다니며 소리로 몰아내면 다른 사냥꾼이 잡는 방식이었습니다.여기서 'beating around the bush'는 직접적인 행동을 피하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우회하는 태도를 상징하게 되었습니다.용례와 쓰임친구가 뭔가 말하려다 망설이면, “Stop beating around the bush. Just tell me!”회의 중 누군.. 2025. 5. 9.
'경종을 울리다' 뜻 : 위험한 상황이나 잘못된 일에 대해 미리 경고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의미 '경종을 울리다'는 한국어에서 위험이나 잘못을 경고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의미로 사용되는 관용구입니다. 이 표현은 일상생활과 다양한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며,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사용됩니다.'경종을 울리다'의 정의와 어원정의위험 경고: '경종을 울리다'는 위험한 상황이나 잘못된 일에 대해 미리 경고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람들에게 잠재적인 위험이나 문제를 인식하게 하여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돕습니다.비유적 표현: 이 표현은 실제 종을 울리는 행위에서 유래한 것으로,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경고나 주의를 촉구하는 의미를 갖습니다.어원과 역사적 배경경종(警鐘)의 의미: '경종'은 '경계할 경(警)'과 '쇠북 종(鐘)'이 합쳐진 단어로, 위급한 상황이나 위험을 알리는 종을 의미.. 2025. 3. 14.
호박씨 까다 : 겉으로는 점잖거나 얌전하게 보이지만, 속으로는 교활한 짓을 하거나 제 실속을 차리는 행동을 의미 “호박씨 까다”는 겉으로는 점잖거나 얌전하게 보이지만, 속으로는 교활한 짓을 하거나 제 실속을 차리는 행동을 의미하는 한국어의 관용구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사람들의 이중적인 태도를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어원과 유래“호박씨 까다”라는 표현의 어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가장 유명한 두 가지 설을 살펴보겠습니다.돌담 설첫 번째 설은 돌담 설로, 옛날 사람들이 집의 돌담을 쌓고 살았던 시절, 호박 넝쿨이 돌담 틈새로 옆집으로 넘어가는 현상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이때 사람들이 "담구멍으로 호박순 가다"라는 말을 하곤 했고,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의 표현인 "호박씨 까다"로 변화했다고 합니다. 이 설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은밀하게 하면서도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게 행동하는 모습을 묘사한다고 볼 수.. 2025. 2. 18.
귀가 얇다 뜻 : 남의 말을 쉽게 믿는 사람을 지칭 '귀가 얇다'는 표현은 남의 말을 쉽게 믿는 사람을 지칭하는 한국어 관용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의미, 유래, 사용 예시, 반대 표현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귀가 얇다의 의미남의 말을 쉽게 받아들이다'귀가 얇다'는 표현은 남의 말을 쉽게 믿고 자신의 판단 없이 따르는 사람을 지칭합니다.이러한 사람은 타인의 의견에 쉽게 영향을 받아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을 확립하기 어려워합니다.이로 인해 주변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거나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판단력이 부족하다귀가 얇은 사람은 자신의 판단보다는 남의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이로 인해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자신의 생각보다는 타인의 의견을 우선시하게 됩니다.이러한 습관은 장기적으로 독립적인 사고를 방해하고, 스스로의 판단력을.. 2025.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