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전사적 생산보전)은 설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입니다. 단순한 설비 유지보수를 넘어,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설비의 무중단 운영을 목표로 하는 관리 방식입니다.
1. TPM 활동이란?
TPM은 전 직원이 참여하는 예방보전 활동으로, 생산 설비의 가동률을 극대화하여 고장, 불량, 낭비를 최소화하는 생산 혁신 기법입니다.
TPM의 주요 목표
- 설비 고장 최소화 → 생산 라인의 원활한 운영
- 품질 향상 → 불량률 감소
- 생산성 증가 → 낭비 제거 및 효율성 증대
-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
2. TPM의 8대 활동(필라)
TPM은 8가지 핵심 활동(필라, Pillar)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① 자주보전 (Autonomous Maintenance)
- 작업자가 스스로 설비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활동
- 청소, 점검, 윤활 등을 통해 설비 이상을 사전에 방지
② 계획보전 (Planned Maintenance)
- 예방 정비 및 예측 정비를 통해 돌발 고장을 방지
- 주기적인 설비 점검과 부품 교체로 생산 중단 최소화
③ 품질보전 (Quality Maintenance)
- 설비의 결함을 예방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
-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문제 발생 시 근본 원인 해결
④ 초기 관리 (Early Equipment Management)
- 신규 설비 도입 시 설계 단계부터 유지보수를 고려하여 생산성 향상
⑤ 개별 개선 (Focused Improvement)
- 생산 현장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활동
- "카이젠(改善)" 기법을 활용하여 낭비 요소 제거
⑥ 교육 및 훈련 (Education & Training)
- 전 직원이 TPM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진행
- 작업자의 설비 이해도를 높여 문제 해결 능력 향상
⑦ 안전·환경·위생 (Safety, Health & Environment)
- 무재해, 무공해 작업 환경 조성
- 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
⑧ TPM 사무부문 (TPM in Administration)
- 생산뿐만 아니라 사무 부문의 업무 효율성 향상
- 불필요한 업무 절차 개선 및 비용 절감
3. TPM 도입의 효과
TPM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면 설비 효율성과 기업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됩니다.
✅ 설비 가동률 증가 → 돌발 고장 및 생산 중단 최소화
✅ 불량률 감소 → 품질 향상으로 고객 신뢰도 증가
✅ 생산성 향상 → 낭비 요소 제거 및 효율적인 공정 운영
✅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 → 산업재해 예방
4. TPM의 성공적인 실행 방법
✔ 전 직원의 참여 유도 → TPM 활동은 모든 부서와 직원이 함께해야 효과적
✔ 지속적인 교육 및 개선 → 정기적인 교육과 카이젠 활동 필요
✔ 성과 측정 및 피드백 → 개선된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지속적인 피드백 제공
5. 결론: TPM으로 지속 가능한 생산 혁신을 실현하자!
TPM 활동은 단순한 설비 유지보수가 아니라 기업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활동입니다.
기업이 TPM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설비 안정화, 품질 개선, 생산성 증가,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TPM 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생산 혁신을 실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