得魚忘筌(득어망전)은 "得(득): 얻다", "魚(어): 물고기", "忘(망): 잊다", "筌(전): 어망(고기 잡는 그물이나 통발)"이라는 뜻으로,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어망)은 잊어버린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어떤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그 목적을 이루는 데 사용된 수단이나 방법을 가볍게 여기거나 잊어버리는 태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다.
득어망전의 뜻과 유래
득어망전의 정의
득어망전은 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그 과정에서 사용한 도구나 수단을 잊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태도를 뜻하는 표현이다.
- 의미
- 목표를 이루고 나면 그 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도구나 과정은 잊어버림.
- 목적이 달성되면 수단이 더 이상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태도.
- 어떤 사람이 자신의 성공을 도와준 사람이나 방법을 쉽게 잊어버리는 모습.
- 사용 맥락
- 어떤 목표를 달성한 후, 그것을 이루기 위해 도움을 준 사람을 가볍게 여길 때.
- 성공한 후 자신을 도와준 방법이나 원칙을 소홀히 하는 태도.
- 한때 중요했던 것이 목적 달성 후에는 의미를 잃는 상황.
득어망전의 유래
득어망전은 중국 철학자 장자(莊子)의 『외물편(外物篇)』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목적과 수단의 관계에 대한 사상을 담고 있다.
- 장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통발(筌)은 물고기를 잡기 위한 것이다.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어버린다. 말(言)은 뜻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뜻을 깨닫고 나면 말을 잊어버린다."
- 여기서 "득어망전(得魚忘筌)"이라는 개념이 나왔으며, 목표를 이루면 그 목표를 이루는 수단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뜻으로 발전했다.
- 이후, 득어망전은 목표를 달성한 후 수단을 쉽게 잊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경고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득어망전의 현대적 의미
성공 후 원칙과 도리를 잊는 태도
- 목표를 달성한 후 도움을 준 사람을 무시하는 경우
- 성공하고 나서 자신을 도와준 사람들을 잊고 배신하는 태도.
- 예: "그는 사업이 성공하자 도움을 준 사람들을 외면했다. 완전히 득어망전이다."
- 자신을 키워준 조직이나 가치를 쉽게 잊는 경우
- 한때 중요한 조직이나 가치였던 것이 목적이 달성되자 가볍게 여겨지는 상황.
- 예: "그는 출세하자 회사를 떠나버렸다. 득어망전의 전형적인 사례다."
정치와 사회에서의 득어망전
- 정치인이 선거에서 당선된 후 공약을 잊는 경우
- 선거 때는 국민에게 온갖 약속을 하지만, 당선 후에는 지키지 않는 모습.
- 예: "유권자들에게 공약을 내걸었지만, 당선 후에는 아무것도 지키지 않았다. 전형적인 득어망전이다."
- 권력을 잡은 후 과거의 동료들을 배신하는 경우
- 한때 협력했던 사람들이 목적이 달성되면 필요 없어진다고 생각하는 태도.
- 예: "그는 권력을 잡은 후 동료들을 내쳤다. 득어망전의 정치 스타일이다."
비즈니스와 경제에서의 득어망전
- 회사가 성장한 후 초기 고객이나 투자자를 무시하는 경우
- 작은 기업이 성장한 후 초기 투자자나 충성 고객을 소홀히 하는 경우.
- 예: "이 회사는 득어망전처럼 초기 고객을 무시하고 가격을 올렸다."
- 직원이 승진한 후 함께 일했던 동료들을 무시하는 경우
- 승진하고 나서 과거의 동료들에게 거리를 두거나 무시하는 태도.
- 예: "승진 후 태도가 변했다. 완전히 득어망전이다."
득어망전의 교훈
- 목표를 달성해도 과정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성공 후에도 자신을 도와준 사람과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 수단이 필요 없게 되어도 기본적인 가치는 지켜야 한다
- 목적이 이루어졌다고 그 과정에서의 노력과 사람들을 무시하면 안 된다.
- 신뢰와 도리는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 한때 중요한 것이 나중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가치가 될 수 있다.
득어망전의 유사어
- 토사구팽(兎死狗烹) - 필요할 때는 이용하고, 필요 없으면 버린다
- 득어망전과 비슷하게 목적을 달성한 후 도움을 준 사람을 배신하는 태도를 의미.
- 배은망덕(背恩忘德) - 은혜를 저버리고 덕을 잊어버림
- 득어망전이 수단을 잊는다는 뜻이라면, 배은망덕은 받은 은혜를 저버린다는 의미.
-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The End Justifies the Means)
- 득어망전의 현대적 해석으로, 목적만 이루면 과정은 중요하지 않다는 사고방식을 뜻함.
- 원칙을 지키는 태도(Integrity in Success)
- 득어망전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목표를 이루고도 기본 원칙을 지키는 태도를 강조.
득어망전의 활용 예문
- "그는 선거에서 이기자마자 공약을 뒤집었다. 전형적인 득어망전이다."
- "성공했다고 해서 초심을 잃으면 안 된다. 득어망전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득어망전처럼, 한때 중요한 것이 목적 달성 후에는 잊혀지기도 한다."
결론
득어망전은 목적을 이루면 그 과정에서 사용한 수단이나 도움을 준 사람을 잊어버리는 태도를 의미하는 고사성어다. 현대 사회에서도 성공 후에도 신뢰와 도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과정과 원칙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진정한 성공이라는 교훈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