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초고왕 업적 : 백제의 제13대 국왕, 삼국시대의 3대 정복군주

by 지식한입드림 2025. 11. 5.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년)은 백제의 제13대 국왕으로,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광개토태왕, 신라의 진흥왕과 함께 3대 정복군주로 불리는 위대한 군주입니다. 그의 진정한 이름은 여구(餘句)이며, 비류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근초고왕은 단순한 군사 정복만을 이룬 왕이 아니라, 정치, 외교, 문화, 행정 등 다방면에서 백제를 강대국으로 발전시킨 통합의 군주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근초고왕이 즉위하던 4세기 중엽, 백제의 영토는 지금의 서울과 경기 지역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30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남으로는 전라도 지역까지, 북으로는 평양성까지 영토를 확장하여 백제 역사상 최대의 영역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그의 대외 정복 활동은 한반도의 정치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백제를 동아시아의 주요 국가로 부상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왕권 강화 및 중앙집권화

근초고왕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가장 먼저 왕권을 강화하고 중앙집권체제를 정비하는 데 힘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계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즉시 자신의 왕계 계승권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이는 왕의 이름 앞에 "근(近)"자를 붙여 "근초고왕"이라는 이름을 지었고, 이후 자신의 아들 근구수왕(近仇須王)의 이름에도 "근" 자를 붙임으로써 왕위 계승이 근 가(家)에서 이루어질 것임을 명확히 한 데서 알 수 있습니다.

근초고왕은 또한 진씨(眞氏) 가문의 왕비를 맞이하여 이 가문을 왕실을 지지하는 중요한 배경 세력으로 삼았습니다. 진씨 가문의 진정(眞淨)을 조정좌평(朝廷佐平), 즉 최고의 관직에 임명함으로써 귀족세력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왕권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중앙집권화를 위해 근초고왕이 실시한 가장 주목할 만한 정책은 담로제(檐魯制)의 본격화였습니다. 담로제는 지방을 일정한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는 제도입니다. 근초고왕 대에 이르러 담로제는 전국에 동일한 지방통치 방식으로 정착되었으며, 이로써 백제는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담로에 파견된 관리는 왕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지방세력과의 협조 아래 지방을 통치하게 됩니다. 중앙 문화양식을 지닌 귀족과 그 막료들이 지방으로 진출함으로써 동질감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마한 지역을 비롯한 정복지에 대한 차별의식을 점차 사라지게 하였습니다.

마한의 정벌과 남부 지역 통합

근초고왕은 왕권을 강화한 후 즉시 남쪽으로의 정복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남쪽 정복의 첫 번째 목표는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백제의 세력권에서 이탈해 있던 마한의 잔여 세력이었습니다. 마한은 원래 54개의 부족국가 연맹체였으나, 근초고왕 시대까지도 일부 지역이 백제의 영향권 밖에 있었습니다. 근초고왕은 이러한 마한 세력을 경략·복속시킴으로써 전라도 지역 전부를 자신의 지배 영역으로 확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백제는 한반도 남부의 최강자로 급부상하게 되었습니다.

마한을 정벌한 후 근초고왕은 낙동강 서쪽의 가야 세력으로 시선을 돌렸습니다. 369년 3월, 그는 사사노궤(沙沙弩誾), 목라근자(木羅近子) 등의 장수를 보내 가야 지역을 공격했습니다. 그 결과 비지발, 남가라, 녹국, 안라, 다라, 탁순 가라 등 7국을 모두 평정하여 가야 지역 전부를 백제의 영향력 아래에 두는 데 성공했습니다. 가야의 복속은 단순한 영토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으로 가는 해상 무역로를 장악하는 전략적 이득을 의미했습니다.

그 후 근초고왕은 당시 전라도 남부 지역에 있던 침미다례를 침공하여 격파했습니다. 이렇게 되어 백제의 영향권은 가야 지방과 오늘날의 전라도 전역까지 크게 넓혀졌으며, 백제는 한반도 남부 지역의 확실한 패권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고구려와의 대결과 평양성 전투

근초고왕이 벌인 가장 주목할 만한 군사 작전은 고구려와의 일련의 전쟁이었습니다. 당시 고구려는 북중국의 선비족이 세운 "전연"의 공격으로 환도성이 불에 탔고, 미천왕의 무덤이 파헤쳐지는 등 극도로 약한 상태에 빠져 있었습니다. 이러한 고구려의 약점을 틈타 근초고왕은 북진 정책을 적극 추진하게 됩니다.

369년 9월,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군사 2만 명을 이끌고 백제 북부에 위치한 황해도의 치양성으로 쳐들어왔습니다. 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벌인 최초의 대규모 전쟁이었습니다. 근초고왕은 자신의 아들인 태자 근구수를 보내 고구려 군에 맞서게 했습니다. 태자 근구수는 백제에서 고구려로 도망갔다가 다시 돌아온 사기(斯紀)라는 인물로부터 고구려의 군사 정보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과감한 기습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결과는 백제의 대승리였습니다. 태자 근구수는 고구려군을 크게 격파했고, 고구려군 5천여 명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승리는 백제가 고구려와 대등하게 겨룰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그 후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다시 백제를 침략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근초고왕은 자신이 직접 출전하여 예성강(패수)의 남쪽에 복병을 숨겨두었고, 고구려군이 지나가자 불시에 공격하여 그들을 크게 격파했습니다. 이 승리를 통해 자신감을 얻은 근초고왕은 더 이상 수비적 자세를 취하지 않고 공격적으로 전환하기로 결심했습니다.

371년, 근초고왕은 태자 근구수와 함께 정예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을 공격했습니다. 이는 삼국시대 초기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가장 큰 규모의 전쟁이었습니다.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성 안에서 백제의 대군을 맞서 필사적으로 항전했습니다. 양국의 군사 충돌이 극심했지만, 결과는 고국원왕의 부상과 그로 인한 사망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근구수가 고국원왕의 목을 베어 창에 꽂아 효수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비록 근초고왕이 평양성을 완전히 함락시키지는 못했지만, 고구려의 왕을 사살한 것은 대내외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백제는 고구려에 대한 압도적 우위를 점하게 되었으며, 한반도 남부뿐만 아니라 한반도 중부까지 자신의 영향권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 전쟁의 결과로 근초고왕은 옛 대방(현재의 황해도 대부분)까지 점령하게 되었고, 백제는 역사상 최대의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중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

평양성 전투의 성공 이후, 근초고왕은 국제 무대에서의 백제의 위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 중국과의 외교 관계에도 주력했습니다. 372년 1월, 근초고왕은 당시 중국의 동쪽을 지배하던 동진(東晋)에 사신을 보냈습니다. 이것이 백제가 중국 왕조와 맺은 최초의 공식 외교 관계입니다. 동진은 이에 호응하여 근초고왕을 "진동장군 영낙랑태수(鎭東將軍領樂浪太守)"로 책봉했습니다.

이 작호는 표면상 중국 왕조가 한반도의 귀족국가 왕에게 주는 관직이지만, 실제적 의미는 매우 컸습니다. "낙랑태수"는 4세기 초반까지 한반도 주변을 아우르던 국가에 대한 것이었으므로, 동진이 근초고왕을 동쪽의 패자(覇者)로 인정했음을 의미했습니다. 이를 통해 근초고왕은 동진으로부터 중국계 주민들의 환심을 사게 되었으며, 이는 고구려에 대항하는 데 강력한 정당성을 부여했습니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근초고왕이 중국이 분열된 시기를 활용하여 요서(遼西) 지방으로 진출했다는 점입니다. 중국 사서인 『남사(南史)』의 백제전에는 "고구려가 요동을 차지하자 백제도 요서와 진평 두 군의 땅을 점거해 백제군(百濟郡)을 설치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요서 진출은 고구려의 요동 진출을 견제하는 전략적 의미와 함께, 상업적 측면에서 무역 기지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습니다.

일본과의 외교 관계 수립

백제와 일본 열도 세력과의 관계가 본격화된 것도 근초고왕 시대였습니다. 당시 한반도의 삼국은 모두 일본을 끌어들여 군사 원조를 받거나 적어도 상대국에 군사 원조를 못하도록 막으려 노력했습니다. 일본 입장에서도 백제를 통해 중국 남조의 선진 문물을 도입하는 것이 국가 발전에 필수적이었습니다.

364년, 근초고왕은 가야의 부족국가 탁순국을 통해 야마토(大和) 왕권과 교섭하려 시도했습니다. 366년 3월에는 사신을 보내 신라와 동맹을 맺고, 탁순국 왕을 통해 야마토 왕권과의 외교관계 수립을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에 호응한 야마토는 시마노스구데(島ノ須來手)를 파견했으며, 근초고왕은 이를 환영하여 오색의 채견 1필, 각궁의 화살, 철정 40매를 선물로 주었습니다.

367년, 근초고왕은 신라 사신편에 구저(久氐), 미주류(彌州流), 막고(莫古) 등 백제의 사신을 딸려보냈고, 이들이 함께 야마토에 도착함으로써 백제와 야마토 사이에 국교가 공식적으로 수립되었습니다. 또한 368년에는 신라를 존경하여 백제에서 가장 뛰어난 명마 두 필을 신라에 선물하기도 했습니다.

372년경으로 추정되는 시점에, 근초고왕은 칠지도(七支刀)와 칠자경(七子鏡)을 일본에 선물했습니다. 칠지도는 일곱 개의 가지를 지닌 신성한 칼로, 백제 왕의 절대 권위와 백제가 세계의 중심이라는 천하관을 표현하는 물건이었습니다. 칠지도의 몸체에는 금으로 상감된 글자들이 새겨져 있었으며, 이 칼은 하늘의 대변자로서 백제 왕이 지니는 신성한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보물이었습니다. 칠지도는 일본의 이소노카미 신궁에서 1873년에 발견되어 현재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해상 무역로 장악과 상업 활동

근초고왕은 지정학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활용하여 해상 무역에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한대(漢代) 이후 중국 황해 연안에서 한반도의 서남 해안으로, 그리고 일본 열도로 이어지는 해상 교통로는 매우 중요한 상업로였습니다. 그런데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에 의해 멸망되고 북중국에는 수로에 익숙하지 못한 선비족이 들어서게 되자, 이 전통적인 해상 교통로와 상업로의 주도권이 백제에게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근초고왕은 요서 지방에 백제군을 설치하여 무역 기지를 확보했고, 한반도와 일본 지역에 자리 잡은 백제계 세력들을 연결하여 고대 상업망을 형성함으로써 동아시아의 무역 중심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해상 무역의 활성화는 백제에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왔으며, 국가의 부를 크게 증가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문화와 학문의 발전

근초고왕은 정복 활동과 더불어 문화와 학문 발전에도 주력했습니다. 낙랑과 대방에서 내려온 중국계 인재들을 등용하여 기술과 문예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역사서 『서기』의 편찬입니다. 근초고왕은 박사 고흥(高興)을 중용하여 백제의 역사를 기록하게 했으며, 이를 통해 백제의 역사적 정통성과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근초고왕은 일본으로 학자들을 파견했습니다. 특히 왕인(王仁) 박사는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과 한학, 천문, 역법 등 다양한 학문과 기술을 전파했으며, 일본 학계와 사상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백제가 단순한 군사력뿐만 아니라 문화적 우월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평가와 역사적 의의

근초고왕은 백제 초기 불완전했던 왕권을 강화시키고 중앙 집권화를 한층 강화시켜 백제를 고대국가로 완성한 군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정복 활동을 통해 백제는 역사상 최대의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동아시아의 주요 국가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근초고왕의 가장 큰 업적은 단순한 군사적 승리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는 마한의 54개 부족국가 연맹체를 상당히 통일했고, 가야 지역을 부용하에 두었으며,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했습니다. 동시에 중국의 동진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일본의 야마토와 국교를 맺음으로써 백제의 국제적 위상을 크게 높였습니다.

그러나 근초고왕도 만능은 아니었습니다. 그의 만년에 373년 독산성 성주가 신라에 투항했을 때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고, 375년에는 수곡성을 고구려의 소수림왕에게 빼앗겼음에도 보복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백제 중심의 한반도 남부 질서가 이미 무너지기 시작하고 있었음을 의미했습니다. 결국 근초고왕 사후 아들 근구수왕 시대부터 백제의 전성기는 약화되기 시작했고, 400년의 광개토대왕과 이후 장수왕의 남정으로 백제는 큰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근초고왕은 375년 음력 11월에 사망했지만, 그가 남긴 업적과 유산은 백제의 이후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삼국시대 초기 한반도의 정치 지형을 완전히 바꾼 위대한 군주이자, 동아시아 고대사에 중요한 발자국을 남긴 인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백제의 전성기를 열어낸 근초고왕의 다각적인 업적은 한반도 역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분기점을 마련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